마음소풍
마음소풍 25.01.07 97 11
자존감, 나를 인정할 수 있는 용기

 

다사다난했던 2024년이 지나고, 어느 새 2025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나이를 먹을수록 시간이 빨리 간다고는 하지만, 한 해, 한 해가 지나고 보면 유난히 빨리 간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새 해를 마주하는 여러분들의 마음은 어떠실지 궁금하네요.

 

올 해는 1월에 설날까지 있어서 미리부터 열차와 고속버스 예매를 준비하는 분들도 있을 것이고, 휴가를 붙여서 좀 더 긴 연휴로 여행을 준비하시는 분들도 있을텐데요.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거나, 여행을 떠나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보면, 여기저기 맛집이나 멋진 장소의 사진 등이 SNS에 많이 올라오게 됩니다.

 

하지만, 연휴를 혼자 보내거나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가 많지 않은 분들이라면 이러한 사진들을 보면서 외로움을 더 크게 느끼기도 하고, ‘남들은 다 행복하고 즐겁게 연말을 보내는데, 나만 이렇게 혼자 외롭게 지내는구나’ 싶은 마음이 유난히 더 크게 들기도 합니다.

 

우리는 내가 가지지 못한 것을 가진 누군가를 보며 끊임없이 부러워합니다. 

 

때로는 반대로 내가 누군가의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도 하죠. “부러우면 지는 거다.”라는 말도 있지만 부러움으로부터 자유롭기란 쉽지 않습니다. 

 

부러움은 타인과 비교에서, 특히 나보다 더 나은 상황에 있거나, 내가 원하지만 부족한 무언가를 가진 사람과의 상승 비교를 통해 일어납니다.
 

self-esteem-840_02_20250107

 

최근에는 유달리 외모나 부모의 경제력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부러움을 느끼고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은데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두 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두 가지 요인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이전에 비해 커졌기 때문입니다. 

 

즉, 개인의 노력으로 이 두 가지 요인에서 우위에 있는 사람들을 뛰어넘기가 힘들어진 것인데요. 

 

외모에 대한 가치 평가가 노골적인 요즘, 외모도 재능이고 ‘얼굴 천재’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각종 SNS와 매체를 통해 활약하고, 그로 인해 실제로 상당한 경제적 수익을 거두고 있습니다. 

 

많은 직업들이 준수한 외모를 개인홍보나 마케팅의 하나로 활용하고 있기도 한데요. 

 

TV나 유튜브에 등장하는 다양한 전문직 종사자들을 떠올려 보면 외모가 성공의 중요한 한 요인으로 자리잡았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self-esteem-840_03_20250107

 

과거에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집안 환경에서도 학업능력이 우수하면 대학을 나와 괜찮은 직장을 어렵지 않게 가질 수 있었죠. 

 

직업적 안정성도 크기 때문에 열심히 월급을 모으면 어느 정도 중산층으로 편입되어 노력에 대한 성취감과 보상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좋은 대학을 졸업했다고 하더라도 안정된 삶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부모의 든든한 경제적 지원 하에서 어린 시절부터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한 사람들이 더 많은 직업 선택과 성공의 기회를 누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청년들은, 주어진 환경 내에서 아무리 노력해도 벗어날 수 없는 덫에 걸린 기분이 들 수 밖에 없습니다.

 

외모나 부모의 경제력에 박탈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두 번째 이유는 현대사회의 개인주의와 자기중심적 사고와 관련이 있는데요. 

 

세상의 중심은 ‘나’이고 내가 느끼고 생각한 것, 그리고 경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존재이고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특별한 ‘나’에게 현실의 외모와 부모의 경제력은 현실 모습 그대로 받아들이기 힘든 것으로, 결국 마땅히 그래야 하는 상태와 비교해서 박탈되어 스스로 박탈감을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self-esteem-840_04_20250107

 

특히 최근에는 SNS를 통해 나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더 쉽게 비교하고 상대적 박탈감을 더 쉽게 느끼도록 만드는데요.

 

SNS에 자신의 일상을 드러낸 사람들은 타인의 반응이 꽤 신경이 쓰이게 됩니다. 

 

이는 SNS 상에 올린 자신의 사진과 글에 자신의 무의식적 내면이 투사(projection) 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 어깨가 으쓱하지만,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을 때는 괜스레 마음 한 켠이 쓸쓸하고 불편해지기도 합니다.

 

우리가 SNS를 통해 자신의 일상을 드러내고 반응에 일희일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간이 가진 가장 기본적인 욕구인 인정-승인의 욕구(Need of Approval Seeking)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인간은 태어나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혼자의 힘으로 살아갈 수 없고 부모의 전적인 도움이 필요하죠. 

 

그렇기에 아기는 본능적으로 타자의 힘이 필요함을 감지하며 생존을 위해 타인에게 의지하려 합니다. 

 

결국 아이의 생존과 성장에는 사랑과 인정이 필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출생 초기에는 부모가 이런 역할을 하고, 점차 친구-선생님-연인 등으로 그 관계가 확장됩니다. 

 

성장과정에서 얻게 되는 자신감과 자기애는 평생 건강한 자존감의 밑거름이 됩니다. 

 

이러한 관성은 성인이 되어도 없어지지 않고 자신을 늘 사랑해 준 부모님뿐만 아니라 친구, 연인 등 타인의 인정과 사랑을 추구합니다. 

 

타인의 인정과 사랑이 생존의 밑거름이라는 생각이 깊은 무의식 속에 숨어 있는 것이지요. 

 

이렇듯 SNS를 이용하는 이들의 심리적 기저에는 타인에게 인정받고 사랑 받고 싶은 기본적인 욕구가 녹아 있습니다.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다면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내적 불안이 생겨나게 됩니다.

 

self-esteem-840_05_20250107

 

내 글이 얼마나 타인에게 관심을 받고 있는지, 타인이 자신의 글에 ‘좋아요’ 를 얼마나 눌러주는지가 무의식적으로 자존감의 척도가 됩니다. 

 

하지만 개인이 행복하고 즐거운 모습을 보여주는데 한계가 있죠. 

 

항상 긍정적인 모습만 보여주던 관성이 강박관념을 만들고 이는 결국 불행의 씨앗이 되기도 합니다. 

 

SNS에는 자신의 최고의 순간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한 순간만을 보는 다른 사람들은 자신의 평범한 삶과 비교하게 되고 한없이 초라해짐을 느끼게 됩니다. 

 

마음속에 자신이 가지지 못한 것들, 채워지지 않은 욕구들을 타인은 마음껏 누리고 있는 것을 볼 때, 자존감에 금이 가고 열등감이 불타오르게 됩니다.

 

자존감을 낮아지게 만드는 원인



자존감에 영향을 받게 되는 원인은 사람마다 다르며, 어느 순간 갑자기 바뀔 수도 있는데, 주요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편견과 차별의 경험
  • 실직하게 되어 극심한 절망 또는 위기감을 느끼는 상황
  • 괴롭힘, 폭력, 학대의 경험
  • 경제적인 어려움
  • 학업 성취도가 낮아 자신감이 부족함
  • 가정 환경 문제(부모갈등, 이혼 등)
  • 신체적 건강 문제로 인한 심리적 위축
  • 외모 등 신체에 대한 콤플렉스
  • 불안, 우울증 등의 심리적 어려움

 

self-esteem-840_06_20250107

 

낮은 자존감에 의한 주요 증상


  • 희망이 없다는 무기력감
  • 모든 원인을 자신에 대한 비난으로 돌리며 자책과 비관을 하게 됨
  •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부터 하게 되어 시작하기를 어려워 함
  • 자기 혐오심이 강해짐 (자신에 대한 표현에 부정적 단어를 사용)
  • 자신이 하는 일이 보잘 것 없다거나 항상 실수가 있을 것이라는 의심을 하게 됨
  • 자신의 열등감을 만회하고자 과도한 집착이나 무리한 성과를 내려함
  • 과도한 음주, 폭식, 무리한 육체활동 등 스스로를 학대 수준으로 방치함
     

건강한 자존감을 갖기 위한 방법


 

self-esteem-840_07_20250107

 

자존감이란, 나 자신을 냉정하게 평가하고 인식하며, 그런 나 자체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스스로를 믿는 마음입니다.

 

SNS 상의 수많은 자극적 메시지들 속에서 우리의 자존감은 쉽게 무너집니다. 

 

내가 원했든, 원하지 않았든 간에 SNS 피드의 글과 사진은 마음 깊은 곳의 무의식을 건드리게 되죠. 

 

일단 SNS에서 자신이 팔로우 하는, 또는 관심을 갖고 있는 페이지들을 한번 잘 살펴봅시다. 

 

분명 어떤 공통되는 주제들을 가지고 있을겁니다. 어떤이는 화장법, 의류 등에 관심을 갖고, 또 어떤 사람들은 대인 관계의 기술, 혹은 선망하는 롤 모델이 올린 사진이나 글들을 보며 부러움을 느끼기도 하죠. 

 

마음 한쪽에는 불편함이 조금씩 올라오는걸 모르는 채로요.

 

자신이 집착하는 주제들은 대개 자신이 가진 결핍감(Defectiveness)와 연결됩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의식은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열등감을 극복하고자 관련된 정보들을 받아들이려 합니다. 

 

하지만 자신이 부족하다고 여기는 것들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이다 보면 역효과가 나기 십상입니다.

 

self-esteem-840_08_20250107

 

나의 열등감을 건드리는 정보들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해서는 우선 ‘나’에 대해 충분히 알아야 합니다. 

 

성장과정, 중요한 대상들로부터의 영향, 그로 인해 형성된 나와 미래를 바라보는 나의 시각이 어떠한지에 대한 통찰(insight)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스키마(Schema)라고 불리우는 것인데요. 

 

각자가 갖고 있는 스키마는 모두 다른 색깔을 지니고 있습니다. 

 

내가 어떤 연유로 이러한 자극으로부터 영향을 받는지, 왜 그런건지, 나의 삶의 어떤 부분이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런 영향을 받은 나의 시각은 어떠한지를 곰곰이 들여다본다면 과도한 자극은 피하고 자신에게 정말로 필요하면서도 온건한 수준의 정보를 걸러낼 수 있습니다. 

 

과도한 자기 노출과 이에 대한 강박관념을 가진 사람 또한 자신에 대한 통찰이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태도가 바로 건강한 자존감으로 이어지게 되고 건강한 어른으로서의 삶의 초석이 되는 것입니다.

 

지난 한 해 동안 내가 이룬 것이 없다고 생각하거나 내가 초라하게 느껴지기도 하죠. 

 

그렇게 느껴진다면 크든 작든 자신이 이룬 일들을 돌아보시면 좋겠습니다. 

 

꼭 일에서의 성과가 아니더라도 한해 동안 읽은 책이나 봤던 영화 목록을 정리해봐도 좋고, 새롭게 시작한 취미 중 꾸준히 했던 것이 있다면 그것 역시 올해 이룬 일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더라도 한 해 동안 내적 성장이나 생각, 관점의 변화가 있었다면 기록으로 남겨보는 것도 좋습니다. 

 

성과를 꼭 물질적이거나 가시적인 것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남들이 꼭 인정해 주는 것이어야 할 필요도 없습니다. 

 

아무리 작고 사소해 보이는 것이더라도 나에게 의미가 있었던 일이라면 그것 역시 나의 성취, 성과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self-esteem-840_09_20250107

 

키가 작은 것에 콤플렉스를 가진 사람은 이성을 소개 받은 후, 만남이 이어지지 않는 원인을 두고 키가 작기 때문에 퇴짜를 맞은 거라는 결론을 쉽게 내리곤 합니다.

 

모든 원인을 자신이 느끼고 있는 콤플렉스로 귀결시키며, 더욱 자신의 콤플렉스에 갇혀 지내게 되는 것인데요.

 

그러다보니 내 안의 다른 모습 즉, 나의 강점을 찾아볼 생각조차 못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나의 단점과 약점만을 되내이며 주변을 의식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삶과 비교하며 자신의 부족한 부분만 바라보게 되면, 계속 제자리이거나 뒷걸음으로 물러서게 되는 위축된 일상의 반복일 수 밖에 없습니다.

 

나의 콤플렉스로 여겼던 부분은 냉정하게 인정하고, 불필요한 타인과의 비교 보다는 나를 어필할 수 있는 다른 강점을 찾아 그것을 드러내 보이려 노력하는 것이 올바른 자존감 회복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

 

상담치료 안내

심리상담은 자기 스스로나 가족이나 친구 같은 주변의 도움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심리적인 문제로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합니다.

상담치료
Tag
03_eventwidget_suwon_500_448.webp

수원센터

업데이트 아이콘
새해 복 선물 이벤트! 심리상담 및 심리검사 할인
25.01.01 ~ 25.01.31 진행 중
01_event_bucheon_20241231__800.png

부천센터 (본점)

업데이트 아이콘
새해 할인 이벤트! 새로운 시작, 희망 더하기
25.01.01 ~ 25.01.31 진행 중

간편하게 알아보는 자가진단테스트

자가진단테스트 메인
2022_30F_gapyung_winter_mov001_500.png
새로운 아이콘

함박눈이 내리고 있는 숲 속 겨울 풍경 영상

겨울풍경·눈내리는영상
2021_jeju_mov0057-20241210-800.jpg

제주도 어음리 억새 군락지 풍경영상

산·숲·오름·평야
2024_sanjung_mov0001_800.jpg

경기도 포천 산정호수 산책로 늦가을 풍경 영상

형형색색 꽃과 단풍
새로운 아이콘
상담문의드립니다
윤♡현 25.01.13
부천센터 (본점) 답변대기
새로운 아이콘
심리상담
프♡♡♡... 25.01.13
부천센터 (본점) 답변대기
집중력 문제로 문의 드립니다.
노♡택 25.01.11
수원센터 답변완료
간편 상담문의 아이콘

간편 상담문의

간편 상담문의를 신청하시면, 선택하신 통화 가능 시간에 맞춰 마음소풍에서 안내 전화를 드립니다.

  • - -
0 / 500

개인정보처리방침

'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www.maum-sopoong.or.kr)은 개인정보보호법, 통신비밀보호법, 전기통신사업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마음소풍은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이용자가 제공하는 개인정보가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www.maum-sopoong.or.kr)은 개인정보보호법, 통신비밀보호법, 전기통신사업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마음소풍은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이용자가 제공하는 개인정보가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